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[Container - 4] 쿠버네티스 (Kubernetes)

등장 배경

도커 이미지가 점차 많아짐에 따라 관리해야할 대상이 늘어나게 되었고, 이를 관리하고 자동화할 툴이 필요하게 되어 Google에서 개발하여 등장함

  • 현재는 CNCF(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) 재단에서 Open Source로 관리 중
  • Kubernetes가 너무 길어 끝 단어 사이에 8글자가 들어가 K8S라고도 부름

기존의 수동으로 제어하던 Container의 배포, 운영을 자동화하는 "오케스트레이션 시스템"으로, 서버를 클러스터로 구성하여 관리

 

특징은 아래와 같음

  • 상태관리 : 상태를 선언하고 유지함. 노드가 죽거나 응답이 없을 경우, 자동으로 컨테이너를 관리하여 상태를 유지함
  • 스케줄링 : 조건에 맞는 노드를 찾아 컨테이너를 배치
  • 클러스터 : 가상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때문에 하나의 서버에 있는 것 처럼 관리할 수 있음 (Cloud Native)
  • 서비스 디스커버리 : 서로 다른 서비스를 쉽게 찾아 통신할 수 있음

 

cf. 쿠버네티스(K8S)에 대해 이해하고 AWS EKS를 배우면 많은 도움이 됨